「여귀(女鬼)가 기록한 식민자의 반성, 피식민자의 분열된 모방 — 리앙의 《눈에 보이는 귀신》을 중심으로」(2022)
「한·중 심리소설에 나타난 윤리의식 고찰- ‘李箱’과 ‘施蟄存’을 중심으로 -」(공저, 2022)
「한중 현대 생태 아동문학에 나타난자연의 관계 양상 연구」(공저, 2022)
「이질적 어둠의 영토-타이완 작가 리앙의 작품 읽기」(2021)
「신화의 탄생과 제국적 욕망 — TV드라마 「미월전(羋月傳)」을 중심으로」(2020)
「황춘밍(黃春明) 그림동화 속의 자아정체성 찾기 과정 고찰」(2019)
「리앙(李昻)의 『화장한 피의 위령제(彩妝血祭)』를 통해 본 애도의 정치」(2019)
「고통과 유희의 저항― 왕샤오보 『황금시대』, 『혁명시대의 연애』 읽기」(2018)
「장아이링 소설 속 동화적 구조」(2018)
「<제7일>의 사후세계가 지닌 의미와 창조성」(2017)
「장톈이 장편동화 속 환상세계의 의미망」(2017)
「방정환과 예성타오 동화 비교」(2016)
「이원수와 張天翼 판타지 동화 비교 - 『숲 속 나라』와 『大林和小林』을 중심으로」(2015)
「권정생과 황춘밍 동화 비교」(2014)
「과거의 구원과 현재의 수용 ― 타이완 외성인 2세 작가 張大春, 朱天心, 平路의 작품을 중심으로」(2013)
「타이완 문학에서 드러나는 에스닉 상상과 국가 정체성」(2012)
「《丁莊夢》 속에 담긴 은폐된 정치 우언」(2012)
「韓少功의 《馬橋詞典》 읽기」(2011)
「장아이링 후기 작품의 특성」(2010)
「기억과 환상:타이완 외성인 2세 작가의 타이완 상상」(2010)
「중국 근대 여성해방 담론의 여성 배제 과정 고찰: 婦女雜誌를 중심으로」(2010)
「張愛玲 극본 영화 <不了情>과 <太太萬歲> 분석」(2009)
「거페이(格非)의 『인면도화(人面桃花)』속 유토피아 드림」(2009)
「李昻 소설을 통해 본 국가와 섹슈얼리티 - 『迷園』을 중심으로」(2008)
「殺夫와 救母 그리고 왜곡된 진실- 타이완 여성 작가 리앙의 殺夫 읽기」(2007)
「화려한 혁명과 쓸쓸한 개인, 그리고 그녀의 광기」(2006)
「朱天心小說的邊緣意識-以我的朋友阿里薩爲中心」(2005)
「거울 속의 공간, 상하이- 왕안이의 소설을 중심으로」(2004)
「다시 쓰는 여성의 서사 :-천란(陳染)의《개인생활(私人生活)》을 중심으로―」(2004)
「베이징 도시 여성의 소비욕망과 좌절」(2004)
「천란(陳染) 글쓰기의 여성적 의미」(2003)
「홍콩을 통해 본 1940년대 上海의 식민주의와 젠더」(2002)
「徐訏의 문학관」(2002)
「팔루스와 어머니」(2002)
「여성의 몸과 몸의 공간」(2000)
「張愛玲 소설에서 보이는 여성의식」(1999)
「'母像'과의 동일화와 일탈을 통한 理想」(1997)
[해외 논문]
「The Ethical Choices of “New Women” in Korean: A Comparative Study of Two New Women in “Kyeong-hee” by Na Hye-seok and “Biography of Kim Yeon-sil” by Kim Dong-in」(2021)
BK21 4단계 「한국과 아시아의 문화 교류와 확산을 위한 전문 인력 양성 교육연구팀」 교육연구팀장(2020~2027)
한국현대소설학회, 민족어문학회, 우리문학회, 민족어문학회 상임이사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Post-Doc.(2011~2012)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2007~2011)
상허학회, 국제어문학회,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민족문화연구, 문학과 환경학회 편집위원
주요논문
「K-culture에 대한 인식 개념의 확장성 연구- 썸트렌드(Sumtrend) 빅데이터(2014~2023) 자료를 중심으로」, 리터리시연구, 한국리터러시학회, 2024.
「통제와 대응, 풍선효과의 변증법 -식민지기 한국 근대 문학사의 재론-」, 우리어문연구78, 우리어문학회, 2024.
「20세기 초 한국과 베트남의 근대 지리 담론 수용 비교 연구」, 국제한인문학연구34, 국제한인문학회, 2022.
「식민지시기 한국과 베트남의 대중종합잡지의 특성 연구 -『삼천리』와 『남풍』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1.
「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검열과 복원」, 국어국문학193, 국어국문학회, 2020.
「소설 코퍼스를 활용한 ‘서동산’의 소설 『염마』의 저자 판별」, 『어문론집』78, 중앙어문학회, 2019.
「일제강점기 대만의 사상 검열에 끼친 식민지 조선의 영향력」, 『Journal of Korean Culture』40,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8.
「일본 내무성 경보국 발행 검열 문건에서 확인되는 조선 및 조선인 관련 자료의 의미」, 『한국언어문학』(100), 한국언어문학회, 2017.
「일제강점기 신문 연재소설의 이중 검열 양상-함대훈 장편소설 『폭풍전야』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174), 국어국문학회, 2016.
「한국 현대소설의 기계적 문체 분석을 위한 계량적 방법론」, 『국어국문학』(170), 국어국문학회, 2015.
「Considering the Word Spacing of Input Sentence in Automatic Word Spac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ngineering Research Open Access』10(90), Research India Publications, 2015.